긴 장마를 거쳤던 남북관계, 뜨거운 해가 다시 뜨나

올 여름에는 유난히 국지성 폭우가 잦았다. 장마도 예년에 비해 길었다. 가히 열대지방의 우기와 비교해도 손색이 없을 정도였다. 이 모든 것이 지구의 자연변화로 인한 이상기후라 한다. 지구온난화로 인해 앞으로 지구는 더욱 뜨거워질 것이며, 이로 인한 각종 기상이변이 속출할 것이라고도 한다. 이는 모두가 알고 있는 사실이다. 하지만 직접적으로 자연재해를 입지 않은 사람은 절실히 체감할 수가 없다. 그저 뉴스나 미디어를 통해 심각하다는 ‘사실’만 끊임없이 인지할 뿐이다. 그것은 서서히 일어나고 있는 그야말로 ‘자연현상’이기 때문이다.

길고 지루한 우기처럼 잔뜩 찌푸려 있던 남북관계가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고 있다. 그간 지속해 오던 긴장고조와 교착국면을 넘어서 한반도 정세가 또 한 번 요동치고 있는 것이다.
지난 7월 중순에는 인도네시아 발리의 아세안지역안보포럼(ARF)을 계기로 6자회담 남북 수석대표 회담이 열린 데 이어 남북 외교장관들의 만남도 이뤄졌다.
그리고 7월 하순에는 북한에서 핵협상을 총괄하는 김계관 외무성 제1부상의 뉴욕 방문이 이뤄졌다. 밀가루 지원 허용 등 최근 인도적 대북 지원에 보다 유연해진 우리 정부의 자세도 한반도 정세변화에 긍정적 요소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2008년 베이징 6자회담 이후 2년 7개월 만인 남북수석대표 회담은 참가국들 사이에 공감대를 이룬 ‘남북 비핵화 회담→북미대화→6자회담 재개’ 수순의 첫 단계에 해당한다. 그 동안 6자회담 재개에 소극적 입장을 취했던 한국과 미국도도 이번 수석대표회담을 중대한 진전이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김계관 부상의 뉴욕 방문이 그 다음 단계인 북미대화의 형식과 내용을 충족한다면 머지않은 시일 내에 6자회담 본회의의 재개도 기대해 볼 수 있을 것 같다.

하지만 변수도 적지 않다.
청와대는 “남북 양자관계는 천안함·연평도 사건에 대한 북측 입장 표명이 있어야 풀릴 수 있다”는 입장을 여전히 고수하고 있다. 비핵화 논의 와중에서 두 사건에 대한 면죄부를 주는 꼴이 되게 할 수는 없다는 뜻이다.
일단 6자회담 재개 수순은 천안함과 연평도 사건과는 별개로 진행되는 양상이지만, 남북 양자관계에 획기적 진전이 없으면 비핵화 논의에도 한계가 있기 마련이다. 남북 양자관계와 6자회담을 통한 비핵화 논의가 선순환적인 진전을 이루기 위해서는 정부의 유연한 대처가 절실하다.

북한이 가진 진정성에 대한 의구심도 여전히 남아 있다.
남북 간 비핵화 회담인 6자회담 수석대표 회담에 응하긴 했지만 북미대화로 가기 위한 형식적 절차 정도로만 여기는 감이 없지 않다. 북핵 문제의 궁극적 해결과정에서 남한이 중요한 당사자인 만큼 남한을 배제하면 문제가 풀릴 수 없다.

북측은 이 점을 분명히 깨닫고 남북간 비핵화 회담에도 진지한 자세로 임해야 한다. 실로 오랜만에 맞는 국면 전환의 기회다. 남북 양측은 상호 신뢰와 유연한 자세로 협력해 이 기회를 놓쳐서는 안 된다.
장마가 끝난 세상은 온통 불볕더위다. 수증기가 가득한 습한 바람은 짜증을 불러일으키지만 ‘여름이 뜨거워야 풍성한 가을을 맞이할 수 있다’는 교훈을 떠올리며 애써 참아본다. 오랜 장마를 겪었던 남북관계 역시 이번 여름이 관건이 될 것으로 보인다.
다소 짜증스럽고 불편한 계절을 겪는다 하더라도 뜨겁고 화통한 논의를 통해 풍성한 가을을 꾸려나가길 기대해 본다.

저작권자 © 시사매거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