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사회의 다양한 미충족 생활돌봄을 위해 생활돌봄 서비스 정책화 논의
양 기관, 학술활동과 공동의 연구활동을 위한 업무협약도 이날 체결해

전북연-한국농촌사회학회, 농촌 생활돌봄 방안 공동세미나 개최(사진-전북도청)

[시사매거진/전북] 전북연구원과 한국농촌사회학회가 29일 농촌지역의 다양한 미충족 생활돌봄을 위해 ‘농촌생활 돌봄’ 방안에 대한 공동세미나를 개최했다.

전북연구원 영상회의실에서 열린 이번 세미나는 ‘농촌사회 돌봄, 어떻게 할 것인가?’를 주제로 주민이 함께하는 농촌 공동체 돌봄, 농촌지역 생활돌봄 청년 일자리 정책방안 등에 대해 집중 논의하였다.

미충족 돌봄은 일상생활에서 어려움을 겪는 개인이 여러 형태의 도움을 받지 못하는 상태를 말하며, 생활돌봄은 농촌주민이 받고 싶었으나 받지 못하는 생활서비스로 장보기, 말벗, 이동지원 등 생활에서 반드시 필요하지만, 개인이 쉽게 해결할 수 없는 사회서비스 등을 의미한다.

이날 첫 번째 주제발표를 맡은 한국농촌경제연구원 김남훈 박사는 “농촌주민이 마땅히 받아야 하는 돌봄의 사각지대에 주목하여, 주민에게 돌아가는 부담을 줄이고 효과를 늘리는 최적 방안으로 지역사회와 정부가 함께 공동체 돌봄을 추진해 나가야 한다”라고 밝혔다.

특히, 대부분이 고령자인 농촌지역에서 노인돌봄을 주제로 농촌주민이 주체가 되어 돌봄조직을 구성하고, 이를 통해 돌봄을 직접 기획하며, 시설 운영 등을 맡는 단계별 추진방안을 제안하였다.

두 번째 주제발표를 맡은 전북연구원 황영모 박사는 “(공적부조)수급자 돌봄 서비스를 넘어서 경제적·사회적·신체적 한계로 충족되지 못하는 크고 작은 생활돌봄 서비스를 청년 일자리와 연계해 나가야 한다”라고 제안하였다.

농촌지역의 생활돌봄 서비스를 구체적으로 현실화하여 다양한 미충족 생활돌봄을 담당할 활동 주체(조직)가 활동 인력으로 (귀농·귀촌) 청년을 사회적경제 방식으로 활동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세미나에 참여한 전문가들은 농촌 생활돌봄은 농촌사회의 역량이므로 서비스 개념을 넘어 지역사회 역량의 관점에서 대응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의견을 모았다.

이효진 완주소셜굿즈센터 센터장은 농촌사회의 핵심은 공동체의 유지임을 강조하면서, 사회적농업 등의 방식이 지역사회의 관계를 확대하고 공동체를 유지하는 역할을 수행하여 지역사회 돌봄의 새로운 장을 열 수 있을 것이라며 기대감을 밝혔다.

신소희 마을연구소 일소공도 협동조합 책임연구원은 생활에 밀착한 복지 관계망과 다양한 돌봄자원이 지역사회에 있음을 강조하며, 그 역할을 수행할 지역사회 실행 주체를 조직화하는 지원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신유정 구례효사랑요양병원 한방원장은 농촌과 돌봄의 논의에서 ‘주민들’이라는 단일적·추상적 범주로 돌봄 가능성을 접근하는 것은 한계가 크므로 어린이와 노인 등 사람을 구체화한 돌봄을 확대해 나갈 것을 제안하였다.

전북연구원 권혁남 원장은 “농촌사회는 일상생활의 다양한 필요와 수요에도 불구하고 ‘생활돌봄’ 서비스가 많이 부족한 실정”이라며, “지금까지와 같은 방식의 사회서비스 정책의 한계를 볼 때, 다양한 미충족 돌봄수요를 해결하기 위한 사회적 혁신이 요구된다”라고 밝혔다.

한편, 이날 공동세미나에 앞서 전북연구원과 한국농촌사회학회는 농촌사회의 다양한 구조적 문제에 대응하여 학술적·정책적 영역에서 ‘공동의 연구활동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였다.

한국농촌사회학회 김흥주 회장(원광대 교수)은 “양 기관이 힘을 모아 농촌사회의 현실에 기반한 다양한 학술활동과 정책연구를 통해 농촌사회가 직면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책임있는 연구활동을 해나가겠다”라고 밝혔다.
 

하태웅 기자 ktshtw@hanmail.net

새시대 새언론 시사매거진

저작권자 © 시사매거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