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소비자원, 지하철 역사 35개소 대상 장애인 편의시설 안전실태 조사

지하철 객실 간격 및 높이 등 초과...일부 안전장치도 미흡

소비자원, 개선 및 관리감독 강화와 설치 기준 마련 요청 예정

[시사매거진=홍승표 기자] 일부 지하철 역사 내 장애인 안전·편의시설이 미흡해 안전사고 발생 위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소비자원은 18일 전국 지하철 역사 35개소를 대상으로 장애인 편의시설 안전실태를 조사해 결과를 공개했다.

우선, 승강장과 휠체어 전용 좌석이 설치된 지하철 객실 간 간격 및 높이를 측정한 결과 30개소는 기준 간격(5cm 이내)을 준수하지 않았고, 최대 15cm에 달했다.

또한, 10개소(28.6%)는 승강장과 지하철 간 높이가 1.5cm를 초과하고, 최대 3cm까지 측정돼 지하철 승·하차 시 휠체어 이용자 등의 안전사고 발생 위험이 높았다. 기준 간격보다 넓은 30개소 중 18개소(60.0%)는 간격이 넓다는 주의표지도 없어 발빠짐 등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34개소(에스컬레이터가 없는 1개소 제외) 중 26개소(76.5%)는 에스컬레이터 진행 반대 방향 진입 시 경고음이 울리지 않았다.

수평고정손잡이가 설치된 에스컬레이터 31개소 중 15개소(48.4%)는 점자표지판이 없어 시각장애인이 반대 방향으로 진입 가능해 장애인의 안전사고 위험이 높았다.

또한, 35개소 중 6개소(17.1%)는 엘리베이터 문이 닫힐 때 움직임을 감지해 문이 열리는 광감지식 개폐장치가 작동이 안됐다. 21개소(60.0%)는 엘리베이터의 운행상황을 안내하는 음향신호장치가 작동되지 않아 문 끼임 등 장애인의 안전사고 발생 위험이 높았다.

장애인이 경사형 휠체어 리프트를 이용하기 위해 역무원을 호출하는 버튼도 계단과 거리가 있는 역사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역사 35개소 중 11개소의 역무원 호출버튼과 계단과의 거리는 평균 114cm였다. 또, 61cm에 불과한 곳도 있어 추락사고 발생이 우려됐고, 3개소(27.3%)는 호출버튼이 작동되지 않아 휠체어 리프트 사용이 어려웠다.

역사 출입구 70곳(35개소 출입구 2곳) 중 엘리베이터가 없어 휠체어 출입이 어려운 31곳의 이동편의시설 중 12곳(38.7%)은 안내표지가 없거나 있어도 이동 편의시설의 위치가 표시돼 있지 않았다.

환승구간 26개소 중 9개소(34.6%)는 엘리베이터에 ‘환승’ 또는 ‘나가는 곳’ 등 출입구에 대한 안내가 없어 휠체어 이용자의 환승이 쉽지 않았다. 환승 이동수단이 고장났음에도 안내표시가 없어 환승로를 다시 되돌아와야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소비자원은 “이번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관계 부처에 지하철 내 장애인 안전·편의시설 개선 및 관리·감독 강화와 지하철 내 장애인 안전시설 설치 기준(에스컬레이터 역방향 진입 시 경고음 장치 설치·엘리베이터 광감지식 개폐장치 설치 의무화 등) 마련 등을 요청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시사매거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