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프회원권 투자가 끝났다고? 종목별 옥석가리면 대체투자 충분한 상황

 

 부실 골프장 회원권의 재발견 
 
정유년 새해부터 회원권시장이 분주해진 양상이다. 과거 해마다 되풀이되던 신년 상승 기대감이 예전 같지는 않지만 시세하락 이후에 매도수주문의 수급 미스매치가 지속되고 있어 매물 구하기도 쉽지 않다. 특히 2016년 ‘부정청탁 및 금품 등 수수의 금지에 관한 법률’(가칭 ‘김영란법’)의 무리한 해석으로 폭락했던 수도권과 지방 거점도시 근교의 우량 종목들은 매수세 증가가 제한적인 여건이지만, 오히려 매물이 급감한 탓에 소량의 주문에도 시세가 급등하고 있다. 이에 따라 자산시장의 대내외적인 불확실성에도 불구하고 최근 회원권시세가 전반적인 상승세를 보이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여건이 조성된 배경에는 매물의 수요와 공급의 논리 이전에 금융위기 이후 시나브로 진행되어온 시장의 체질적인 변화에 초점이 모아지고 있다.
전년도 2016년 시황만 봐도 이러한 경향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전반적 시황은 약세에 비중을 두고 마무리 되었지만 개별종목별로는 하락뿐 아니라 상승폭이 컸던 종목들도 속출했기에 이례적인 현상으로 지목되고 있다. 동시에 이를 두고 부실업장이 정상화되는 과정에서 과도한 하락에 저평가된 종목들에 대한 관심이 증가했고 금융위기 이후 디커플링 과정을 거쳤던 부동산시장의 영향도 부분적으로 작용하기 시작했다는 분석이 대두되기도 했다. 경기가 하강국면을 거치면서 과도한 부채를 앉고 있던 골프장들의 부실이 문제화된 것은 어제 오늘의 상황이 아니지만 대부분은 부채를 끌어와서 골프장 개발사업에 막차를 탔거나 입지 선호도가 낮은 곳에 무리한 사업을 한 경우가 많았다.
게다가 2008년 금융위기 이후에는 회원권시세가 고점대비 평균치로 63% 이상 하락했었기 때문에 신설 골프장들은 회원권 분양이 순탄치 못했고 시작부터 시세하락과 미분양에 시달릴 수밖에 없었다. 이에 기존 안정적인 영업을 해오던 업장이라 할지라도 신규 분양을 기획했다면 역시 낭패를 경험한 케이스로 이어지기는 마찬가지였다.
그러나 최근 부실골프장들의 기업회생절차 진행이 퍼블릭 골프장으로 전환하는 것을 골자로 하면서 해당 골프장 회원권들의 시세가 급등하고 있어 관심을 끌고 있다. 2013년 골프클럽안성Q가 기업회생 상황 중에 회원권 입회보증금의 17%만 반환을 받으면서 회원권 시세하락과 골프장들의 줄도산 우려가 대두됐었지만 퍼블릭 골프장들의 평균영업이익이 20%대에 육박하면서 기업회생에 들어간 부실 골프장들에 대한 시선이 달라지기 시작한 것이다. 이러한 과정 속에서 인수주체들은 회원권보유자들을 설득하여 퍼블릭으로 전환하는 작업에 돌입하고 있기 때문에 보증금 반환비율이 자연스레 높아지고 있는 부분에 초점이 모아진다.
더구나 최근에는 회원권 입회보증금 반환비율이 평균 40%를 넘고 있으며 일부는 60%를 넘어 100% 반환의 사례도 확인되고 있다. 이렇게 되면 부실화되는 과정까지 회원권시세는 폭락하지만 기업회생절차가 어떻게 마무리 되느냐에 따라서는 대박이 될 수도 있는 전화위복의 상황이 연출되기도 한다.
회원권투자는 종말하고 순수한 사용가치로의 회귀를 주장하는 요즘이지만, 부실골프장 회원권들의 급등락은 시장에 새로운 모멘텀을 제시하고 있다.
 
글 (주)에이스회원권 이현균 애널리스트

저작권자 © 시사매거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