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게 다르지 않은 것 같으면서도 서로 분명히 다른 곳

먼 곳에 있는 그대, 보고 싶었다. 항상 잊지 못하고 끊임없이 되뇌던 당신의 이름, 발칸. 보스니아와 몬테네그로 그리고 세르비아에서 보냈던 꿈같고 때론 여운 깊은 영화와 같았던 기억들. 이제 잡지 못하고 놓지도 못한 채 그 속에서 흘러간 집시의 시간을 추억할 때. 잊힌 기억을 추억으로 바꾸는 방법, 발칸.  에디터‧사진_이곤  [자료_모두투어]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몬테네그로 그리고 세르비아. 이 심정적, 지리적으로 먼 낯선 이름의 나라들은 줄곧 유고슬라비아로 기억되고 있었다. 현재의 크로아티아와 슬로베니아 그리고 마케도니아는 이들과 함께 과거의 유고 연방에 포함되어 있는 나라들이었다. 1990년대로 넘어오면서 소련의 붕괴로 각자의 이름을 되찾은 이들은 발칸이라는, 묘한 향수를 불러일으키는 지역으로 묶였고 각자의 나라로 다시 자리를 찾았다. 보스니아의 순박함과 유연함, 몬테네그로의 경건함과 간결함 그리고 세르비아의 자존감과 화려함. 이들의 문화와 기질 그리고 역사와 환경은 크게 다르지 않은 것 같으면서도 서로 분명히 다르고 또 그렇게 기억되기를 바란다. 슬픔과 아픔이 정확히 교차했고 동시에 공존했지만 이제는 모든 것을 내려놓고 자신들의 땅으로 돌아간 그들. 그들이 보여주었던 것 그리고 그들이 말하고 싶었던 것, 그것은 바로 우리는 발칸의 사람들이고 지금은 발칸의 시간이라는 것.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Bosnia Herzegovina 
발칸이라는 이름이 가장 잘 어울리는 곳. 그리고 아직 상처가 아물지 않아 전하지 못한 애환이 녹아있는 곳, 보스니아. 발칸에서 보스니아를 가장 먼저 들러야 하는 것은 이곳이 가장 발칸스러우며 또 집시적이기 때문이다.

오래된 스타리그라드, 사라예보Sarajevo,
사라예보의 거리를 걷고 있으면 마치 지난 역사의 한 컷에 들어와 있는 것 같다. 이곳이 바로 세계 1차 대전이 발발된 극적인 현장이기 때문이다. 탕!! 평화로운 일요일, 오스트리아 황태자 부부에게 거칠게 울린 한 발의 총성은 유럽과 러시아와 먼 일본까지 참전하게 되는 대규모 전쟁으로 발전하게 되고, 이는 1차 세계 대전이라는 인류사 최악의 오명 중 하나로 기록되게 된다. 사라예보 중심을 흐르는 밀야츠카Miljacka 강에 있는 라틴 다리는 전쟁의 시발점이 된 사건이 벌어진 다리로 지금은 무심히 그저 강 위에서 지탱하고 있다.
강을 건너기 전 오스트리아 황태자 부부를 저격하고 세르비아인이 숨어 들어갔다던 건물이 있다. 건물은 당시 카페였고 지금은 박물관으로 개조, 운영 중이다. 벽에 당시의 상황을 기록해 놓은 석판이 있다. 구시가지Stari Grad를 걷다 보면 전쟁이라는 딱딱한 단어는 이미 희석되어버린 듯하다. 사람들은 노천카페에 앉아 커피를 마시고 지나간 과거의 일들보다는 앞으로 벌어질 행복과 사랑에 대해 이야기를 나눈다. 그것은 사람들의 표정을 보면 알 수 있는 아주 단순한 유추이다.
한국을 떠나기 전 발칸이 주었던 다소 우려 섞인 시선들 그리고 긴장 섞인 설렘들. 하지만 의외로 사라예보에서 그런 우중충한 느낌을 받을 수 없었다. 건물 곳곳에 전쟁 당시의 총탄 자국이 그대로 남아있었지만 사람들은 모두가 호의적이었고 이곳을 감싸는 분위기는 평화로웠다. 그것은 보스니아가, 혹은 사라예보 사람들이 가지고 있는 지극히 단순하고 평범한, 일종의 마음이자 건네는 손이었다.

사라예보 구시가지 내엔 바슈카르지아Bashcharshiya 광장이 있다. 이 광장 주변으로 모스크와 가톨릭 성당 그리고 세르비아 정교회 등 조금은 이질적인 종교 시설이 모두 함께 위치하고 있다. 보스니아는 유럽 대륙에서 거의 유일하게 이슬람교가 국민의 다수를 차지하는 종교로 예전부터 개개인의 종교적인 신념과 색채가 강한 나라였다. 발칸에서 특히 보스니아를 종교와 문화의 모자이크라고 부르는 이유이기도 하다. 지금이야 많이 누그러진 일이지만 예전에 보스니아는 종교적인 신념에 따라 우리와 그들이라는 프레임으로 구분해 왔다고 한다. 하지만 여행자에 대한 시선은 그렇게 정확히 둘로 나뉘지 않은 것 같았다. 여행자는 바로 그들이었고 내가 바로 보스니안이었으며 결국 우리는 모두 같았다. 다소 무뚝뚝한 성격의 보스니안임을 감안한다면 그것은 진실로 환영의 인사였다. 차분하게 깔린 돌바닥을 따라 구시가지 입구까지 가면 작은 탑이 하나 나온다. 마치 티베트의 어디쯤에라도 와 있는 것 같은 특이한 모양의 이것은 1891년도에 건축된 이슬람식 무어풍으로 만들어진 공공수도 세빌리Sebilji 샘. 120년간 한 번도 마르지 않았다고 하는 이 샘의 물을 마시면 다시 사라예보로 돌아온다는 속설을 지닌 보스니안들의 성수. 언젠가는 자신이 살던 바로 그 땅으로 반드시 돌아간다는 것. 가장 당연하고 그리운 고백, 사라예보는 애틋하다.

모스타르Mostar
보스니아의 정식 국호는 ‘Bosnia and Herzegovina’. 나라 이름에 and가 들어가는 것은 다소 생소한데 이는 원래 북부의 보스니아 지역과 남부의 헤르체고비나 지역이 합쳐진 결과이기 때문이다. 하나가 되지 않았다면 분명 남쪽을 대표하는 수도가 되었을 곳 그리고 보스니아로 여행을 온 거의 모든 사람들이 찾아오는 곳, 모스타르. 모스타르는 ‘다리를 지키는 사람’이라는 뜻으로 도시를 흐르는 네레트바 강을 가로지르는 다리인 스타리 모스트 하나만으로도 충분히 설명되는 곳이다. 오스만투르크의 지배를 받던 시절인 16세기 중반에 만들어진 이 아름다운 아치형 다리는 2차 세계대전 이후 가장 참혹했던 전쟁이라 불리는 1993년 보스니아 내전 당시의 포격으로 처참하게 무너졌지만 지금은 다시 재건되어 현재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된 바 있다. 다리 입구에 놓인 돌에는 ‘Don't forget 93’이라는 글귀가 쓰여 있는데 그 뜻은 미루지 않고도 짐작이 가능하다. 1,088개의 돌로 만들어졌으며 이슬람 건축이 유럽에 남긴 교각들 중 가장 아름다운 걸작으로 평가받는 이 스타리 모스트는 완공되었을 당시 세계에서 가장 긴 단일 구간 다리였다고도 한다. 다리 위에 서면 네레트나 강이 발아래를 지나며 모스타르 전경을 펼쳐주지만 이 다리를 경계로 내전 당시 모스크가 보이는 오른 편의 이슬람계와 반대편의 가톨릭계 사람들이 서로 극렬하게 반목했다고도 한다. 이 다리는 그러나 지금의 보스니아와 헤르체고비나를 묶어주고 또 과거 서로 반대편에 섰던 모든 모스타르 사람들 양쪽의 손을 맞잡아 주는 역할을 한다. 이 중간의 지점에 놓여있는 다리는 그래서 단순한 구조물이 아니다. 그 거대한 화해의 은유. 보이지 않는 용서가 가득한 곳, 모스타르. 그리고 그 다리, 스타리 모스트.

몬테네그로 Monte Negro
몬테Monte-산 네그로Negro-검은. 베네치아 사람들이 이곳에 처음 왔을 때 산이 유달리 검게 보인다고 해서 붙인 이름이 국호가 되었다. 하지만 보스니아에서 넘어와 항구도시인 티바트Tivat에 도착하자마자 가장 먼저 느낄 수 있는 색채적 감각은 검다, 보다 파랗다, 였다. 익숙한 바다 빛 그리고 그 위에 얹힌 푸른빛. 맞다, 지중해에서 만났던 그 익숙한 블루.

몬테네그로식 산책, 코토르Kotor
코토르는 티바트에서 차로 20여 분 거리에 있는 몬테네그로 최고의 관광지이다. 아드리아해 연안을 여행하는 많은 개별 여행자들은 크로아티아의 두브로브니크를 지나 조금 더 아래쪽에 위치한 이 도시를 결코 지나치지 않는다. 코토르는 중세 세르비아의 한 왕가에 의해서 지어졌다는, 전체 길이가 4.5킬로미터에 달하는 굳건한 성벽과 중세 시대의 건축물과 분위기가 잘 보존되고 있는 구시가지로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성벽 정상에서는 동유럽 최고의 리아스식 해변을 감상할 수 있으며 같은 발칸 국가이며 슬라브계인 보스니아와 이웃하지만 문화와 풍습 등이 라틴계인 바다 건너 이탈리아와 조금 더 가까운 느낌이다. 코토르 항구에는 커다란 크루즈가 정박해 있고 구시가지를 감싸고 있는 요새의 성벽은 견고하며 언제나 주변은 차들의 소음으로 분주하다. 하지만 사람들의 행동은 느긋하고 여유롭다. 거친 돌산인 로부첸산으로 둘러싸여 있지만 또 바로 앞의 바다와 함께하고 있는 코토르에 온 이상 코토르식 산책은 당연한 걸음. 1555년 건축되었다는 서쪽 문을 통해 코토르 구시가지로 들어서면 드디어 코토르만이 가지고 있는 작은 세계에 들어가는 셈이다. 이 크지 않은 공간에 12세기에 건축된 성당과 1,300년대에 지어진 수많은 교회와 수도원, 많은 궁전들과 프랑스 극장 등 볼거리가 가득해 흔한 표현인 보석 상자보다는 보석 궁전에 가깝다. 세계문화유산이라는 칭호는 코토르에 주어진 너무나 당연한 왕관.

구시가지로 들어서면 가장 먼저 시계탑이 보인다. 단순한 시계탑이지만 지어진지 무려 400년이 넘는 코토르의 상징과도 같은 건축물로 오른쪽으로 돌아 다시 서쪽의 문으로 나올 때 까지 현지인의 집들과 대표적인 건축물들은 물론 레스토랑과 기념품 숍, 호텔 등이 이어진다. 구시가지를 대표하는 건축물인 성 트뤼폰 성당은 1166년에 건축되었는데, 원래 809년 코토르의 수호성인이었던 성 트뤼폰을 기리기 위해 세운 옛 교회 터에 지어졌으므로 실제 건축 역사를 거슬러 올라가면 무려 천 년이 넘는다. 이 성당은 로마네스크와 고딕, 바로크 양식들이 혼재되어 있으며 코토르에 있는 두 개의 가톨릭 성당 중 한 곳으로 알려져 있다. 코토르에서 남쪽으로 아드리아 해를 면하고 있는 곳에 부드바라는 도시가 있는데 2,500년 동안 무역항으로 서유럽과 동유럽을 잇는 거점 역할을 한 탓에 아드리아 해 연안에 위치한 도시들 가운데 오랜 역사를 자랑하는 도시로 기록된다. 작지만 한때 바다를 호령했던 국가로써 몬테네그로에서 해양 박물관은 다른 나라의 국립박물관보다 중요한 박물관이다. 코토르의 크고 작은 행사가 열리는 성 니콜라스 정교회를 지나 성벽의 외곽에 서면 해자를 기준으로 코토르의 현재 시가지와 구시가지가 나뉘어 보인다. 현재와 과거로 다시 나누는 것은 의미가 없는 일. 모두 코토르이고 코토르가 다함께 아우르기 때문이다. 이제 코토르를 떠날 시간, 단지 시간 계산을 잘못한 탓에 성벽의 정상에 올라 파노라마처럼 펼쳐지는 아름다운 피요르드의 풍광을 보지 못한 것이 아쉬울 뿐이다. 이 마법과도 같은 코토르의 미로에 빠지지 않으려면 시간 분배를 잘 할 것. 그것이 이 코토르의 서쪽 문을 통과해 들어오면 시계탑이 바로 앞에 보이는 비밀이다.

TIP
서쪽 문으로 들어가기 전 여행안내소가 있다. 한국어로 된 지도가 구비되어 있으니 지참하면 좋다.

두 개의 섬 하나의 동화, 페라스트Perast
숙소를 나와 작은 바닷가 마을 페라스트로 가는 길. 몬테네그로는 아드리아 해에 면한 작은 나라지만 산이 많고 계곡이 깊어 일부 도심 구간을 제외하면 나라 이름 그대로 산악 지형인 국가이다. 유럽에서 가장 깊은 협곡인 타라 캐년Tara Canyon도 몬테네그로 북부에 있다. 굽이굽이 산길을 돌면 산 아래로 파란색의 비단에 은빛 보석을 수놓은 것 같은 바다가 펼쳐지고, 과거 15세기 초부터 이 지역을 호령하며 그 옛날 조선소가 4곳이나 있을 정도로 번성했다는 페라스트가 모습을 보인다. 호젓한 해변 돌바닥을 따라 걷다보면 아기자기한 페라스트 마을의 모습보다는 눈앞에 산들이 마치 기웃거리듯, 보호하듯 병풍처럼 막아서고 그 앞에 차마 손으로는 다루지 못해 어쩔 줄 모르겠는 듯 두 개의 보석을 바다에 띄워 놓은 것 같은 장면이 펼쳐진다. 두 개의 섬인 성 조지St.George섬과 바위의 성모Our Lady of The Rock섬. 두 섬은 바다 한가운데에 조용히 나직이 느리게 천천히, 세상의 온갖 느림을 곁에 두고 페라스트를 꾸미고 있다. 먼저 섬으로 건너가기 전에 마을을 둘러본다. 섬은 눈앞에 언제나 있으므로 서두를 필요는 어디에도 없었다. 골목골목 배어있는 짙은 아이보리 벽의 따스한 질감과 평범한 사람들의 단순한 일상은 관광객들과 섞여도 전혀 이질감이 없고 서로 자연스럽게 동화되고 스며든다. 발칸 여행을 시작하면서부터 어디선가 느꼈던 익숙함, 두 개의 섬이 페라스트의 얼굴이라면 마을은 페라스트의 마음 속. 

세르비아 SERBIA  
발칸의 역사에서 항상 중심에 섰던 나라. 세르비아. 다른 국가들과 달리 유달리 서유럽의 색채가 강하지만 도나우 강이 흐르고 발칸 산맥이 이 땅위를 지나며 무엇보다 발칸 땅 파노니안 평원의 한 가운데에 있으니 세르비아를 어찌 진정한 발칸이라고 하지 않을 수 없으랴.

하얀 도시, 베오그라드Belgrade
하얀 도시라는 같은 이름을 지닌 도시는 많다. 페루의 아레끼빠, 모로코의 테투안 그리고 대부분의 스페인 남부 도시들. 베오그라드가 주는 흰색의 이미지가 궁금했다 발칸에서 흰색이라...우선 베오그라드를 걸을 수밖에.
동유럽에서 가장 먼저 맥도널드가 들어오고 일찌감치 나이트클럽과 펍이 거리 어느 곳에나 있을 정도로 서구 문명을 일찌감치 이식한 나라, 세르비아. 베오그라드 거리를 걷다 보면 서유럽의 어느 도시에 있는 것처럼 활기와 분주함이 가득하다. 베오그라드의 도심은 보스니아나 몬테네그로의 중심거리와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사람들이 많았고 주변은 화려했으며 다양한 브랜드의 상점은 확실히 서유럽의 모습이었다. 이들에게서는 확실히 부유함이 느껴졌다. 없는 자가 억지로 내는 것 말고 원래부터 있던 태생적 여유 그리고 그런 바탕에서 나오는 자유. 17세기에 조성되어 구시가지라고 불리지만 아무래도 화려한 현대식 거리인 크네즈 미하일로바 거리를 끝까지 걸으면 칼레메그단Kalemegdan 성벽과 만난다. 칼레메그단은 ‘넓은 평원의 요새’라는 뜻으로 2천 여 년의 역사를 지닌 고도 베오그라드를 꽤 오랫동안 지켜주었던 곳이다. 군사적 용어인 요새에서 지금은 베오그라드 시민들의 휴식처인 공원으로 용도 변경된 칼레메그단. 도나우 강과 사바 강이 합류하는 지점의 언덕 위에 자리하고 있으므로 베오그라드 시내 전체를 조망할 수 있다. 요새 끝에는 기념비가 하나 서 있는데 바로 베오그라드의 상징인 ‘승전기념비’. 14미터 높이의 이 상은 한 손에 검을, 다른 한 손에는 비둘기를 들고 있다. 이 땅에서 전쟁이 더 이상 벌어지지 않기를 바라는 바람. 베오그라드가 주는 흰색은 결국 평화의 색이었다. 동상 너머 도나우 강이 펼쳐지면 어느덧 당신과 나의 거리만큼 멀게만 느껴졌던 베오그라드가 성큼 다가오는 순간. 이제 우리는 어느덧 다시 가까워졌다.

세르비아 횡단 열차, 모크라 고라Mokra Gora
비타시 마을에서 모크라 고라 마을까지 이어지는 협궤 열차. 과거에는 보스니아까지 국경을 넘어 달리던 발칸 횡단 열차였으나 보스니아 내전 때 파괴되어 중단됐다가 현재 지역 주민들의 노력으로 일부 구간이 재개통되어 관광 열차로 운행되고 있다. 하늘에서 보면 열차 레일의 궤적이 숫자 8처럼 보인다고 해서 사르간 에잇Šargan Eight-Number 8이라고도 부르는 모크라 고라. 모크라 고라는 ‘젖은 산’이라는 뜻이다. 열차는 마을을 떠나 곧장 산속 계곡으로 난 길을 따라 아직 채 떨어지지 않은 단풍과 구석에 얼어 있는 얼음덩이를 지나며 남서쪽으로 달린다. 경북 봉화에서 강원도의 태백까지 외진 산간을 달리는 눈꽃 열차와 거의 흡사한 느낌. 그때도 좋았으니 같은 상황이라면 지금도 좋지 않을 이유가 없다. 마침 세르비아의 한 고교에서 수학여행을 온 탓에 열차 안은 뜻하지 않게 부쩍 소란스러워졌다. 옆자리의 승객은 이스라엘에서 온 노부부. 여행자들과 학생이라는, 낯선 시선과 익숙지 않은 환경은 금세 밝은 분위기로 바뀌고 이내 고등학생들은 그들만의 나이로 돌아가, 내부는 기차가 달리는 속도만큼 빠르게 변한다. 간단한 영어 몇 마디만으로도 충분했던 세르비아 고교생들과의 한 때. 서로 악수를 하고 헤어질 때, 묘한 감정이 스미고 그것이 바로 기차가 가지고 있는 정서와 맞닿는다. ‘8’, 돌고 돌아 다시 만나는 모든 것들. 그들과 나, 보스니아와 세르비아 그리고 나와 발칸.

고요한 도시, 노비 사드 Novi Sad
노비 사드. 헝가리와 인접한 탓에 상대적으로 많은 헝가리안들이 살고 있으며 몬테네그로가 독립하기 전 몬테네그로 공화국으로 남아있을 당시 역시 헝가리계의 보이보디나 자치공화국이었던 곳이다. 세르비아의 두 번째 도시로 베오그라드보다 삶의 질이 부유하다고 평가받는 도시. 베오그라드가 세련되고 남성적이며 빠르게 분주하다면 노비 사드는 우아하고 여성적이며 분주하지만 그 속도는 느리다. 그래서 세르비아 사람들은 노비 사드를 고요한 도시라고 부른다. 노비 사드의 중심지인 슬로보데 광장은 베오그라드보다 훨씬 유럽적이고 시청과 세르비아 정교회 그리고 가톨릭계인 성 마리아 성당과 유대인 시나고그 등 많은 종교적인 건물들이 있는 곳으로 이곳에서부터 여러 갈래 골목으로 이어진 노비 사드 속을 걷는 것이야말로 노비 사드를 완벽하게 이해하는 것. 발칸이 조금은 위험하지 않을까 우려했던 모든 이들에게 이곳처럼 안전한 곳이 어디 있냐고 되묻고 싶은 공간이다.
베오그라드의 칼레메그단과 마찬가지로 노비 사드 역시 요새가 도시를 지켜주고 있는데 페트로바라딘Petrovaradin이 바로 그것이다. 현재 전 유럽에 남아 있는 가장 크고 완벽한 요새 체계로 이곳을 기준으로 도나우 강이 양옆으로 흐르고 구시가지와 신시가지로 나뉜다. 다리를 건너 강 아래에서 바라다보면 아름다운 풍광으로 마치 요새가 물 위에 떠 있는 섬처럼 보인다. 지중해의 이베리아 반도 끝에 있으며 아름다운 암벽으로 유명한 영국령, 지브롤터. 페트로바라딘은 발칸의 지브롤터라는 애칭을 가지고 있다. 매년 페트로바라딘에서 개최되는 EXIT Music Festival은 유럽 전체에서 가장 열광적인 음악 축제로 이 시기 노비 사드에는 세상 어느 곳보다 많은 사람이 몰린다. 고요한 도시와 더불어 이곳을 문화의 도시라고 부르는 이유.
 

저작권자 © 시사매거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