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9년 9월 첫 기적울린 후 비약적인 발전으로 세계를 놀라게 하다

110년 전인 1899년 9월18일 노량진~제물포 간 33.2km의 경인선이 개통된 것이 한국철도의 효시다. 1905년 1월에 경부선, 1906년 4월에 경의선, 1914년 1월에 호남선, 같은 해 9월에 경원선, 1936년 12월에 전라선, 그리고 1942년 4월에 중앙선이 각각 개통됨으로써 철도의 주요골격이 형성되었다. 일제 치하에서 해방이 된 1945년 8월에는 영업거리 6,363km, 역 762개소, 기관차 1,166대, 객·화차 1만 7,379량, 직원 10만 527명이었으나 국토가 남과 북으로 분단되는 비운으로 남한의 철도는 영업선 2,642km, 역 300개소, 기관차 488대, 객·화차 9,704대, 직원 5만 5,960명으로 남게 되었으며 미 군정청의 3년간에 걸친 과도기를 거쳐 1948년 정부수립과 더불어 교통부가 철도를 운영하게 된다.

▲ 한눈에 보는 우리나라 철도역사, 해를 거듭할수록 비약적인 발전을 거두고 있다.
한국 철도의 어제와 오늘
1950년 한국전쟁에서 철도는 군사수송의 대부분을 담당하며 전쟁에 큰 기여를 했으나, 전쟁 후 수송장비의 70%, 시설물의 50%가 파괴되는 큰 피해를 입었다. 1953년 휴전 이후 철도는 파괴된 장비와 시설의 복구에 착수하여 태백·영동지구에 산업선을 건설하고 수송력 증강에 노력했다. 1963년 9월 교통부의 외청으로 철도청이 발족하여 철도의 운영을 맡게 되었다. 제1차 경제 개발5개년 계획에 따라 1963년에 영동선, 1966년에는 태백선과 경북선, 1968년에는 경전선을 차례로 개통하여 석탄·비료·양곡 등 대부분의 산업물자를 원활히 수송하여 국가산업과 경제발전의 기반을 다지는데 크게 기여했다. 1974년 8월 경인선, 경부선 및 경원선의 수도권 전철을 개통하고, 1994년에는 분당선 및 과천선을, 1996년에는 일산선 전철을 각각 개통하여 수도권의 도시교통 난을 해소하는 데도 크게 도움이 됐다.

▲ 하루 평균 이용객만 10만 5,000명을 넘어선 KTX는 개통 5년 만에 도시와 도시를 연결하는 대표적인 장거리 교통수단으로 자리 잡았다. 사진은 개통 5년을 맞아 우리손으로 제작돼 운행될 'KTX-Ⅱ'.
세계 5번째 고속철 개통, 세계가 놀라다
제2차 세계대전 후에는 철도의 사양화가 심화되었다. 항공 수송의 급속한 발달에도 영향을 받아 유럽 등 철도 선진국에서 철도는 경영난을 겪으며 쇠퇴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사양산업으로 인식되던 철도는 최근 들어 크게 변하기 시작했다. 도로보다 안전한 교통수단이라는 점이 통계적으로 입증되고 있으며 철도기술의 지속적인 향상으로 운행속도가 꾸준히 향상되어 왔기 때문에 안정성과 고속성도 함께 갖고 있다.
또한 저공해 운송수단으로서 환경 친화적인 교통수단이라는 점에서 철도는 재평가 받고 있다. 최근 이산화탄소 배출을 줄이기 위해 각 국은 머리를 싸매고 그 방안을 강구중이며 우리나라도 곧 교토협약(Kyoto Protocol)의 2차 의무 이행국(2013~2017년)이 될 가능성이 아주 높다. 왜냐하면 우리나라의 일인당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세계 9위 수준이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나라는 현재 자동차를 대신해 저공해 수송수단인 철도에 새로운 관심을 갖기 시작했으며, 지난 2004년에는 세계에서 5번째로 고속철도를 개통시켜 세계를 놀라게 했다.

일반적으로 고속철도(High Speed Railways)라 함은 시속 200km 이상의 고속으로 운행하는 철도를 가리키며 기존철도와 구분하여 이의 대칭적 개념으로 쓰이고 있다. 현재 세계 여러 나라에서 개발되고 있는 고속철도의 기본적인 특성은 재래철도에 비하여 고속운행이 가능하다는 사실이다. 물론 이러한 고속운행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차량, 신호체계, 제어장치, 토목 기술 등이 복합적으로 뒷받침되어야 한다.
우리나라 고속철도는 서울~부산은 2시간40분, 서울~목포구간은 2시간58분만에 각각 주파할 수 있게 되었고, 한반도를 2시간 생활권으로 묶었다.

KTX는 개통 초기 다소간의 시행착오도 있었지만, 몇 년 전부터는 10분 이상 지연하지 않고 정시에 도착한 열차가 99%라는 세계 어느 나라에도 그 유래를 찾아 볼 수 없는 높은 정시율을 자랑하고 있으며 성공적으로 운영되고 있다. 이용 승객 역시 당초 계획에는 미치지 못하지만 개통 14일 만에 승객 100만 명을 돌파했고, 142일 만에 1,000만 명, 작년 8월에는 1억 5,000만 명을 각각 돌파했다.
이처럼 국민들의 사랑을 받으며 꾸준히 성장하고 있는 고속철도는 한반도를 일일 생활권으로 묶었다는 의미 외에도 정부에서 추진하는 지방분권과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큰 몫을 담당하고 있다.

저작권자 © 시사매거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