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산·어촌특화·드론시스템 등 드론표준도시 선포

드론특별자유화구역.(사진_울주군청)

[시사매거진] 울주군은 국토교통부가 공모한 ‘드론 특별 자유화 구역’에 2년 동안 지정됐다고 10일 밝혔다. 

국토교통부에서는 지난해 5월 1일부터 시행된 '드론 활용의 촉진 및 기반조성에 관한 법률'과 함께 ‘드론 특별 자유화 구역’ 지정 공모를 발표해 6월 30일까지 전국 33개 지방자치단체 응모한 바 있다.

국토부 산하기관인 항공안전기술원에서 접수해 서면 검토를 완료한 뒤 국방부의 공역 검토와 현장실사를 진행했으며, 최종 전국 15개 지방자치단체가 발표평가와 실무협의를 거쳐 선정됐다.

드론 특별 자유화 구역이란 각종 규제로 인해 어려움을 겪어왔던 도심 내에서의 드론 활용 실증을 촉진하기 위해 지정·운영하는 드론 규제 특구이다.

‘드론 특별 자유화 구역’에서는 드론 비행 시 필수사항인 ‘사전 비행 승인’ 절차 등 각종 행정적 규제를 받지 않고 실증 작업을 할 수 있다.

울주군 드론마스터플랜.(사진_울주군청)

신청 세부내역을 보면 2021년부터 2025년까지 200억을 투입해 교육·농업을 특화하고, 드론 기본 계획을 수립해 울주군 드론 산업 비전을 제시한다.

드론 시스템을 도입해 행정 혁신을 추진하고, 드론테마파크를 조성해 드론산업의 발전기반을 구축한다.

아울러 드론 산업 육성을 위해 드론 산업 육성위원회를 둬 산업육성에 박차를 가하고 관광 및 디지털 트윈도 드론으로 시도한다.

드론특별자유화구역 위치도(15개 지자체, 33개 구역).(사진_울주군청)

구역별로 살펴보면 총 3개 구역으로 157.3㎢이다.

1구역(UA UA : 초경량비행장치 비행공역(Ultralight Vehicle exist 4)은 면적 71.1㎢, 고도 150m 미만, 실증분야는 농업 드론, 산불·재선충방제드론, 군사 및 경찰수색, 관광드론을, 2구역(도심)은 면적 40㎢, 고도 150m 미만, 실증분야는 디지털트윈, 도심안전드론, 행정서비스 분야를, 3구역(유니스트)은 면적 46.2㎢, 고도 150m 미만, 실증분야는 PAV 연구개발, 하이브리드드론, 산업재해드론을 구역별로 실증한다.

각 구역별로 포함되는 행정구역은 다음과 같다.

1구역(UA4)은 상북면(소호리, 덕현리, 궁근정리, 양등리, 산전리, 지내리, 거리, 길천리, 향산리, 명촌리, 천전리, 등억알프스리), 언양읍(다개리, 평리, 직동리, 송대리, 서부리, 동부리), 삼남읍(교동리), 두서면(서하리, 차리, 구량리) 일원이 포함되고, 2구역(도심)은 언양읍(어음리, 반송리, 구수리), 삼남읍(교동리, 신화리), 삼동면(하잠리, 보은리, 출강리, 둔기리, 작동리), 범서읍(입암리, 구영리, 천상리, 굴화리), 청량읍(율리, 문죽리, 삼정리) 일원이 포함되고, 3구역(유니스트)은 두동면(천전리), 언양읍(반곡리, 대곡리, 태기리, 반연리, 반천리, 어음리, 반송리, 구수리), 범서읍(중리, 망성리, 사연리, 입암리, 구영리) 일원이 포함된다.

도심은 3차원 지도 제작을 위해 공무원이 직접 드론을 촬영하고, 120m 상공에서 촬영해 소음·사생활 침해 등 주민피해 우려를 최대한 방지할 예정이다.

울주군은 지난 2015년부터 행정에 드론을 도입해 다양한 노하우를 축척해왔다.

도시경관 기록화 사업을 시작으로 항공 촬영 및 정사 영상 제작, 위법 행위 단속 및 분석을 통해 행정 분야에 접목해 효과를 입증했다.

현재 울주군에서는 고정익 1대, 회전익 5대를 보유하고 있으며, 공무원도 8명 초경량 비행 장치 조종자 자격증을 취득했다.

올해는 드론 산업 육성 기본계획 수립, 드론 시스템 도입, 드론 자격증 교육, 드론 실증 도시에 공모하고, 드론 전담 조직을 구축해 드론 산업 육성에 전력 투구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울주군은 행정드론시스템 표준도시로 재난·안전·경관·방역 등 여러 분야에 접목·실증이 가능해진다.

주민들은 생활 속에서 드론을 체험할 수 있어 새로운 레포츠로 여가생활과 드론시대를 맞이할 것이고, 산업육성과 연구개발의 기반을 마련하는 것으로 울산이 경제자유구역에 이어 또 하나의 지역 특구를 가지게 될 것으로 기대한다.

울주군 관계자는“드론 특별 자유화 구역 지정으로 고용 유발 1960명 생산 유발 548억, 부가가치 164억의 효과가 있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한창기 기자 aegookja@sisamagazine.co.kr

새시대 새언론 시사매거진

저작권자 © 시사매거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