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집약형 벤처기업 육성의 산실 ‘KAIST’

   

▲ 우리나라의 스타벤처기업들의 산실로써 그 역할을 충실히 해온 KAIST 산학협력단은 벤처기업들의 육성을 위해 KAIST 벤처협회를 구성해 분야별로 5개의 클러스터로 나누고 7개의 하위 그룹을 만들어 그룹별 활동을 지원하며 체계적인 육성을 해 오고 있다. 특히 30여명의 외부 자문위원을 위촉해 매월 각 벤처기업들의 대표들과 간담회를 개최해 벤처기업들이 힘들어하는 부분을 해소할 수 있는 창구를 만들 성공적인 창업을 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

KAIST 산학협력단의 성공적인 창업보육에는 TBI(Technology Business Incubator, 창업 후 2년 미만의 신생벤처기업 또는 창업 전 신기술 보유 예비창업자), Post-TBI(TBI를 졸업하고 창업 후 5년 이내인 추가보육이 필요한 우수기업), TIC(Technology Innovation Center, 기업 부설연구소 형태로 활용할 기업, 창업 후 5년이 경과하고, 공동연구수행을 통한 기술혁신을 위한 기업) 등 벤처기업들의 성장단계에 맞춘 세분화된 보육제도를 갖추고 있기 때문이다.

다양한 지원제도의 확립으로 성공창업의 발판 역할
우리나라의 스타벤처기업들의 산실로써 그 역할을 충실히 해온 KAIST 산학협력단(
www.venture.kaist.ac.kr/박선원 단장)은 벤처기업들의 육성을 위해 KAIST 벤처협회를 구성해 분야별로 5개의 클러스터로 나누고 7개의 하위 그룹을 만들어 그룹별 활동을 지원하며 체계적인 육성을 해 오고 있다. 특히 30여명의 외부 자문위원을 위촉해 매월 각 벤처기업들의 대표들과 간담회를 개최해 벤처기업들이 힘들어하는 부분을 해소할 수 있는 창구를 만들 성공적인 창업을 할 수 있도록 돕는 한편, 정보가 생명인 벤처기업들에게 최적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기업 네트워크를 구축해 매월 최신의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이뿐만이 아니라 입주기업들의 해외진출을 지원하기 위해 지난 2003년부터 중국 북경에서 한ㆍ중 High-Tec EXPO를 개최하면서 중국진출을 지원해 오고 있다. 더불어 지난 2007년 부터는 양국간의 최우수 벤처기업들의 교류증진과 학술 및 기술 교류를 위해 서울과 중국에서 양방향 EXPO를 확대해 개최하고 있다. 또 최근 새로운 경제시장으로 떠오르고 있는 베트남의 국제 전시회에 2007년부터 입주기업들의 참가를 지원하며 신흥경제국가로 부상하고 있는 동남아시아 지역으로의 진출을 위한 교두보를 만들기 위한 노력도 아끼지 않고 있다.
KAIST 산학협력단의 지원제도는 스타기업의 육성을 목표로 보유기술의 경쟁력 및 시장성이 세계시상에서 우위를 확보할 수 있는 글로벌 지향기업을 지원하는 것으로 지금까지 5개 기업을 선정해 전폭적인 지원을 하고 있다. 이러한 지원제도들은 지난 2007년 아시아창업보육협회(AABI)로부터 최우수 창업보육센터로 선정되는 영광을 안았다
KAIST 산학협력단은 공공연구 기관의 첨단기술이전 및 사업화를 위해 대학선도기술이전(TLO), 기업 애로기술의 현장상담 및 지도 등의 벤처기업 지원을 위한 ‘KAIST 기술종합병원’ 설립 등 다양한 지원제도를 마련해 놓고 있는데 특히 기술종합병원은 해당학과의 교수진과 대덕연구단지의 석ㆍ박사 연구원 300여명이 분야별 ‘기술닥터’로 활동하면서 벤처기업들이 겪고 있는 애로사항에 대한 해결을 위해 조언을 아끼지 않고 있다. 또한 초기 마케팅 및 사업장 확보가 어려운 벤처기업들의 위해 ‘Virtual office 서비스’(가상사무실 입주)을 운영과 예비창업자를 포함한 벤처기업들에게 KAIST 교수 및 연구진과의 공동연구를 장려하는 차원에서 입지 및 시설, 연구기자재, 기술 및 경영정보 등을 제공하며 벤처기업 육성에 최적의 환경을 구축해 놓고 있다. 이것은 입주 기업들이 세계적 수준을 갖추고 최적의 비즈니스 환경을 갖추고 국내 지식기반산업의 중추적인 역할을 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한 것으로 여타 대학과의 차별성을 두고 있다. 

   
▲ KAIST 산학협력단 박선원 단장은 “제2의 삼성전자, 제2의 현대자동차가 KAIST 산학협력단에서 자라나고 있습니다”라고 말하고, 세계적인 기술집약형 기업의 탄생을 목표로 협력단을 이끌고 있다고 밝혔다.
국내 최고의 벤처기업 요람 꿈꾸는 KAIST 산학협력단
KAIST 산학협력단을 이끌고 있는 박선원 단장(생명화학공학과 교수)은 “제2의 삼성전자, 제2의 현대자동차가 KAIST 산학협력단에서 자라나고 있습니다. 우리의 목표는 단순히 국내용 우량 기업을 만드는 것이 아니고 세계에서 당당히 기술력으로 인정받는 글로벌 기업을 키워내는 것입니다”라고 말하며 기업활동이 원활할 수 있도록 보육환경을 조성하고 세계적인 기술집약형 기업의 탄생을 목표로 협력단을 이끌고 있다고 밝혔다.
박선원 단장은 1970년 서울대학교 화공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오클라호마 주립대학 석사, 텍사스 오스틴 대학교 화학공학과 박사학위를 취득한 후 미국 Celanese Chemical Company에서 근무하며, 휴스턴 대학에서 MBA과정을 마치고, 1988년 KAIST의 교수로 부임해 후학을 양성하며 기술과 경영에 대한 지식과 경험을 쌓아 오던 중 2000년 KAIST 신기술 창업지원단장을 맡게 되면서부터 본격적인 기술이전과 창업 등 벤처기업을 발굴ㆍ육성하는데 자신의 역량을 쏟아 붙고 있다.
특히 박선원 단장은 “산학협력단장으로서 가장 관심을 가지고 있는 부분은 KAIST에서 개발된 우수한 기술을 기업체로 전이를 확대하는 것입니다. 이것은 기술료에 대한 수익을 창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기술을 바탕으로 창업한 기업이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했을 때 국가산업발전에 기여함은 물론 KAIST가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대학으로 발전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는 것입니다”라고 말하고  기존의 대학들이 연구ㆍ개발에만 치중해 사업화에 대해 등한시 해 왔던 것에서 벗어나 새로운 수익을 창출 할 수 있는 구조를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KAIST 산학협력단은 최근 기존의 산학협력에서 벗어나 새로운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그 일환으로 연구인력양성, 기술지원, 경영컨설팅, 법률자문 등을 강화하고 입주기업들의 해외 전시회 참가 기회도 늘리고 있다. 또한 지자체와 기업 등과 협력해 대형 센터건립도 추진해 현재 96개인 유치기업을 130여 기업으로 확대할 계획을 세우고 주식회사 카이스트홀딩스의 설립을 추진하고 있다.
카이스트홀딩스는 향후 KAIST의 연구결과물과 브랜드를 독점적으로 활용해 수익을 창출하기 위한 핵심기관으로 KAIST에서 개발된 기술을 사업화하고, 이를 통해 얻은 수익을 대학에 재투자하는 선순환 구조를 만드는 핵심적인 역할을 하게 된다. KAIST 산학협력단은 이를 위해 자본금을 출현해 특허기술에 대한 집중관리를 통해 안정적인 수익을 창출한다는 계획을 세우고, 우리나라의 지식기반산업의 선도해 타에 모범이 되는 산학협력단의 모델을 제시하고 있다.

KAIST 생명화학공학과 박선원 교수

■ 학력
1966-1970 서울대학교 화학공학 학사
1973-1975 미국 Oklahoma State University, 화학공학 석사
1975-1979 미국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화학공학 박사
1984-1987 미국 University of Houston - Clear Lake,  MBA

■ 실무경력
1970-1972    ROTC 육군중위
1979-1988    Celanese Chemical, USA
               Systems Engineer, Senior Engineer, Staff Engineer
1988-present KAIST 생명화학공학과 부교수, 정교수
1993-1995    KAIST 화학공학과 학과장
2000-2001    KAIST 신기술창업지원단장
2000-2003    KAIST 발전재단 상임이사
2000-2002    (주)테크노리더스 대표이사
2007.10.16∼  KAIST 산학협력단장

■ 학술활동 및 연구분야
AIChE 정회원/한국화학공학회 정회원/제어,자동화,시스템 공학회 이사, 감사, 부회장/한국 LCA학회 부회장/한국화학공학회 공정시스템 부문위원장/KJChE 편집위원/한국화학공학회 산학협동위원장/한국 LCA학회 회장
공정제어, 공정설계, 공정최적화/Planning, Scheduling/Supply Chain Management/Life Cycle Assessment


저작권자 © 시사매거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