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을 둘러싼 오해와 비난을 바로잡는, 한 경제학자의 용감한 변호

“타일러 코웬은 지금의 경제 시스템을 함축적으로 뒷받침하는 보다 광범위한 실용주의 관점의 맥락에서 비판을 재구성하는 데 탁월한 소질을 지닌 스마트하고 독창적인 사상가다. 그는 특정 이념의 신봉자가 아니라 법률가처럼 결론을 맺는다.” - 퍼블리셔스위클리

저자 타일러 코웬 | 옮긴이 문직섭 | 출판사 보리출판사

[시사매거진=신혜영 기자] “하나의 유령이 전 세계를 배회하고 있다, 반기업 정서라는 유령이.” 6퍼센트. 2016년 갤럽이 실시한 조사에서 기업을 ‘매우’ 신뢰한다고 대답한 미국인의 비율이다. ‘꽤’ 신뢰하는 비율은 12퍼센트였다. 

조사 결과를 하나 더 살펴보자. 2016년 하버드대학교에서 실시한 연론 조사를 보면 미국의 18세에서 29세에 이르는 젊은 성인들의 42퍼센트만 자본주의를 지지한 반면 51퍼센트는 자본주의에 부정적이었다. 

대부분의 응답자는 자본주의 대신 무엇을 선호하는지 확신이 없었지만 놀랍게도 33퍼센트는 사회주의를 대안으로 꼽았다. 이전 세대가 이해하는 그런 사회주의를 뜻한 것은 아니라 하더라도, 젊은 세대가 자본주의 시스템에서 탄생한 기업의 형태를 좋게 여기지 않는다는 것은 분명하다.

기업의 천국으로 알려진 미국의 실제 모습이다. 미국의 일이라 치부하고, 강 건너 불구경하듯 볼 수 있을까? 한국의 상황은 미국 못지않다. 2017년 여론조사업체 원스리서치가 전국 성인 1039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에서 전체 응답자의 55.1%가 기업에 대해 부정적 인식(나쁨, 매우 나쁨)을 갖고 있다고 답했다. 

반면 좋음, 매우 좋음 등 기업에 호감을 갖고 있다는 답변은 34.1%였다. 기업을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반기업 정서를 가진 국민이 절반을 넘는 것으로 나타난 것이다. 

이와 같은 일반 인식에 더해, 언론과 정치권과 학계가 ‘기업 때리기’에 가세하고 있다. 언론은 기업의 문제를 지적하는 기사와 논평을 연일 쏟아내고 정치권은 기업을 각종 규제로 옥죄려 한다. 어느새 기업은 적폐와 동의어가 되었다. 

물론 반기업 정서에 대해 이런 주장이 나올 수 있다. 기업에 대한 불신과 혐오가 날이 갈수록 높아지는 것에는 다 이유가 있다는 것이다. 기업이 윤리적으로 운영되지 않고 사회적 책임을 다하지 않은 것에 대한 당연한 결과라는 얘기다. 

저자 타일러 코웬은 이에 대해 일부 인정한다. 하지만 기업의 잘잘못에 대해 비판하는 것과 그것을 넘어 기업에 과도한 비난과 혐오를 쏟아내는 건 다른 맥락이다. 구분되어야 한다. 또한 저자는 기업이 일반 시민, 국가, 사회에 제공하는 주요 혜택에 비하면 그 의미가 무색해진다고 말한다. 기업은 우리가 소비하며 즐기는 거의 모든 제품을 생산하며, 우리 대부분에게 일거리를 제공하는 존재라는 것이다. 

빠르게 변화하는 경제 상황과 사회 현상에 대한 예리한 분석은 물론 논쟁적인 사안에 대해 독창적인 메시지를 전해온 경제학자 타일러 코웬은 이번에도 기대를 저버리지 않는다. 기업에 대한 과도한 비난과 불신이 얼마나 심한지를 얘기하는 것을 넘어, 왜라는 물음을 던졌고, 탄탄한 논리와 근거를 바탕으로 그 이유를 밝혀냈다. 저자의 의견에 동의하든 동의하지 않던, 이 책은 지금 한국은 물론 전 세계에서 나타나고 있는 가장 중요한 사회 현상을 논의하는 데 초석이 될 것이다.

저작권자 © 시사매거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