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여성과 남성의 종합 실태 파악을 위해「2019 성(性)인지 통계」발간

[시사매거진=이미선 기자] 서울의 여성 노동자 가운데 월평균 147만 원 미만을 받는 ‘저임금 노동자’(월평균 임금이 전체 노동자 중위소득의 2/3 미만) 비율이 27.5%로 조사됐다. 남성(9.6%)보다 3배가량 높았다.('18년 기준) 저임금 노동자 비율은 남녀 모두 감소세를 보인 가운데, '14년과 비교해 여성은 10.2%p, 남성은 4.7%p 감소해 여성의 감소폭이 더 컸다. 

서울시는 서울시 거주 여성과 남성의 생활실태를 종합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2019년 성(性)인지 통계 : 통계로 보는 서울 여성」을 발간하고, 이와 같은 내용을 10일(금) 발표했다.

서울시에 발표에 따르면 ‘18년 15세 이상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은 54.1%로 남성의 경제활동참가율(71.9%)과 큰 차이를 보였으며, 서울에 거주하는 여성 임금노동자의 2018년(상반기 기준) 월평균 임금은 210만원으로, 남성 334만원의 63% 수준이다. 2014년부터 큰 변화없이 63~64%를 유지하고 있다. 

(자료제공_서울시)

이는 OECD가 매년 발표하는 우리나라 성별임금격차(’17년 34.6%)와 성별 임금격차가 가장 큰 산업은 보건·사회복지업(49%) > 전기·가스·증기(47%) > 금융·보험/제조업/공공행정·국방·사회보장(43%) 순이다. 성별 임금격차가 가장 낮은 산업은 하수·재생·환경(1%) < 운수(9%) < 국제 및 외국기관(18%) 순이다. 

노동여건 중 일·생활균형에 대한 만족도 응답 분포는 여성과 남성이 대체로 비슷했으며, 맞벌이 부부의 가사분담의 경우 인식은 공평 분담해야 한다는 게 다수이나, 실제로는 주로 여성이 책임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54.5%)과 남성(52.6%)은 10년 전과 비교해 사회 위험이 더 커졌다고 인식했으며, 여성은 범죄를, 남성은 환경오염을 사회 안전의 가장 큰 불안요인으로 꼽았다. 

경제활동에 있어서 전체 임금노동자 중 임시·일용노동자 비율은 ’14년 이후 여성과 남성 모두 계속해서 감소 추세이나, 여성과 남성의 비율 격차는 ’17년 11.6p%에서 ’18년 13.3%p로 벌어졌다.

사회참여는 2018년 6월 8일에 실시된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서울시 거주 여성 투표율은 60.3%, 남성 투표율은 59.2%로 집계되었다. 여성 당선인 비율은 2014년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와 비교하여 기초의원과 광역의원은 각 7.1%p, 2.4%p 늘어났으나, 구청장은 4%p 줄어들었다.

윤희천 서울시 여성정책담당관은 “성인지 통계는 여성과 남성이 처한 개인적, 사회적 상황의 차이를 통계로 제시해 이를 해소하는 기초자료로써 의미를 갖는다.”며, “이번 성인지통계 작성이 성별에 따른 특성을 파악하고 각 부문별 맞춤정책을 수립하는 데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시사매거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