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매거진=김민수 기자] 몸젠의 《로마사》, 가장 위대한 고전들 중 하나

‘서양 인문학 전공자들의 필독서’, ‘실증주의에 입각한 탁월한 고대 연구서’, ‘역사적 저작들의 가장 위대한 고전 중 하나’. 테오도르 몸젠Theodor Mommsen(1817~1903)의 《로마사 Römische Geschichte》를 수식하는 표현들이다.

로마 건국부터 율리우스 카이사르의 사망까지를 그린 역사서 몸젠의 《로마사》는 기존의 로마사 연구서와 달리 역사적 근거를 제시하는 방법으로 진행되어 좀 더 실증적이며 객관적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또한 몸젠은 1902년 12월 이 《로마사》로 독일 최초의 노벨 문학상을 수상했다. 역사 연구서가 문학상을 받았다는 점은 《로마사》가 가진 의미, 즉 《로마사》가 역사 연구서를 넘어서는 인문학적 교양의 결실이라는 점을 다시 한 번 되새기게 한다.

카르타고 제압 후 큰 변화를 겪는 로마

《몸젠의 로마사 제4권―희랍 도시국가들의 복속》은 지난 2013년 4월, 10년 내 완역본 출간을 목표로 《몸젠의 로마사 제1권―로마 왕정의 철폐까지》를 출간한 후 선보이는 네 번째 결실이다.

로마의 탄생부터 로마 왕정의 철폐까지를 다룬 《몸젠의 로마사 제1권―로마 왕정의 철폐까지》(원서 제1권 제1책), 로마 왕정의 철폐에서 이탈리아 통일까지를 다룬 《몸젠의 로마사 제2권―로마 왕정의 철폐에서 이탈리아 통일까지》(원서 제1권 제2책), 카르타고를 중심으로 성장한 페니키아인들과 로마인들의 전쟁을 다룬 《몸젠의 로마사 제3권―이탈리아 통일에서 카르타고 복속까지》(원서 제1권 제3책 1장~7장)에 이어 제4권(원서 제1권 제3책 8장~14장)에서는 카르타고 전쟁의 연장선에서 로마가 마케도니아와 갈등을 빚으며 희랍 세계까지 세력권을 확장하는 과정, 그리고 카르타고 전쟁 및 마케도니아 전쟁 과정에서 생겨난 로마의 국가 체제 변화 양상이 종합적으로 서술된다.

 

로마, 안팎으로 변화를 겪다

로마는 카르타고 전쟁 이후 희랍 세계로 세력권을 확장하는 동시에, 내부적으로 국가 체제의 큰 변화를 겪는다. 종래의 구질서는 전복되고 다수의 사회 영역에서 경장更張이 성취되었다. 안팎으로 로마를 강타했던 새로운 도전에 직면하여, 변화를 감당할 수 없는 제도들은 철저히 도태되었다. 건국 시부터 지켜온 이념은 시대의 뒤안길로 홀연히 사라지고, 현실적인 해결책들이 공식적인 것으로 권위를 얻고 승격되었다.

 

지중해 동부 지역이 문제로 부상하다

몸젠은 카르타고를 제압한 후 로마에게 주어진 문제 가운데 특히 지중해 동부 지역에 주목한다. 로마가 세운 질서를 어지럽히고 로마 공동체를 몰락으로 압박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춘 강력한 적수들이 지중해 동부 희랍권에 즐비했던 것이다.

대제국 마케도니아의 필립포스와 페르세우스, 아시아의 안티오코스, 그 밖에 여러 군소 세력들과 켈트족까지 준동했다. 그러나 그 누구도 로마를 능가할 수는 없었다. 결국 지중해 동부 희랍권 내의 공동체들은 로마에게 제압되어 여러 지방으로 분할․해체된 후 로마에 동화되었다.

 

안으로 곪기 시작하는 로마

하지만 밖으로는 전 세계를 호령하게 된 패자覇者 로마도 안으로는 근본적 재정비를 갖추지 못해 군데군데 곪기 시작한다. 민회는 여러 도당들에게 휘둘렸다. 가문에 기반을 둔 소수의 엄격한 통치는 무너져 내렸다. 지리적 팽창을 통해 로마로 흘러들어온 막대한 부는 흥청망청 로마를 부패시켰다. 전통적 지배 계급이었던 원로원은 자기가 움켜쥐고 있던 권력을 놓지 않으려 스스로 분규의 중심으로 뛰어들었다. 이윤 추구를 궁극적 목표로 삼고 국가를 무시하는 투기 자본이 정치를 압도했다. 로마를 받치던 주된 기둥이었던 자유농민은 힘센 자들의 세력다툼에 휘말려 파멸의 길로 내몰렸다.

결국 군대 편성을 포함하여 국가의 근간을 이루던 제도들이 급변했고, 국가에 대한 책임은 무책임으로 교체되었다. 국가를 폭력으로 얼룩진 나락으로 떨어뜨리는 단초들이 이 시기에 벌써 숙성되고 있었다.

저작권자 © 시사매거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