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일 국무회의 전후 국정화 계획 발표할 듯

   
▲ 지난 9월 7일 오전 서울 동대문구 혜화동 흥사단강당에서 진행된 ‘역사교육연대회의, 박근혜 정부의 첫 국정역사교과서 분석결과 중간발표’에서 취재진이 국정 교과서를 보고 있다.
[시사매거진] 정부가 오는 13일 국무회의를 전후해 역사교과서의 국정화 계획을 발표하는 방안을 유력하게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는 '국정교과서'의 어감 자체가 거부감을 불러 일으킨다는 지적에 따라 '단일국사교과서'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방안을 검토하는 등 국정 교과서 실무작업에 돌입한 것으로 보인다.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는 7일 오전 최고중진연석회의에서 "산업화 성공을 자본가들의 착취로 가르쳐 기업가 정신이 거세된 학생을 만들고 있다"며 "현 역사교과서들은 학생들이 배우면 배울수록 패배감에 사로잡히고 모든 문제를 사회탓, 국가탓만 하는 시민으로 만들고 있다"고 주장했다.

김 대표는 "현행 교과서들은 '반'대한민국 사관으로 쓰여 있다"며 "좌파적 세계관에 입각해 학생들에게 민중혁명을 가르치는 것으로 보여진다"고 주장했다.

그는 특히 "비상교육이 발간한 교과서에는 '주체사상은 북한 실정에 맞춰 주체적으로 수립한 사회주의사상'이라는 표현도 쓰고 있다"며 "이는 김일성 주체사상을 정당화하려는 오해를 불러일으키는 문제있는 부분이다. 또 두산, 동아 고등학교 교과서도 우리식 사회주의를 강화하자는 소제목이 있는데 이는 국내 종북세력들이 쓰는 표현을 그대로 옮긴 듯한 모습"이라고 현 검인정 역사교과서들을 조목조목 비판했다.

그는 결론적으로 "역사교과서는 부정의 역사관을 물려주게 쓰여지고 있고, 이것이 교육현장에서 학생들에게 주입되는 것은 나라를 위해 절대 용납돼서는 안된다"고 국정교과서 지정 필요성을 주문했다.

김 대표는 지난 5일 최고위원회의에서도 "이제는 역사교육 정상화의 첫걸음을 내디뎌야 할 때가 됐다"며 "우리나라 학생들이 왜 김일성 주체사상을 배워야 하느냐"고 국정교과서에 드라이브를 걸었다.

그는 "이념 논쟁과 편향성 논쟁에서 벗어나 우리 아이들이 객관적인 사실에 기반한 균형 잡힌 역사인식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한국사 교과서를 준비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박근혜 대통령의 복심 이정현 최고위원도 "역사교과서는 모든 국민을 위한 것이어야지 소수 편향된 집필진들의 전유물이 돼서는 안된다"며 검인정 교과서 비판에 가세했다.

이 최고위원은 구체적으로 "A사 집필진 6명이 지난 2011년에 교과서 집필을 끝낸 뒤 다른 출판사로 옮겨가 김일성 우상화에 쓰이는 보천보 전투 등을 또 다뤘다"며 "역사교과서를 국정으로 하지않고 검인정으로 만든건 다양성인데 이런식으로 소수 집필진이 옮겨다니며 기술을 해서는 그 사람들만의 교과서이지 국민교과서냐"고 반문했다.

김 대표와 최근 공천 룰 문제로 갈등을 빚으며 '신(新)친박' 별칭까지 받고있는 원유철 원내대표도 지난 6일 국정감사 대책회의에서 "편향성만 남은 역사교과서 검정 발행 체제는 실패했다"고 단언하며 역사교과서 국정화 드라이브에 나섰다.

원 원내대표는 "역사교과서가 검정 제도로 바뀐 이후 끊이지 않는 편향성 논란의 근본 원인은 교과서를 쓰는 집필진 구조 문제에 있다"며 "집필진 다수가 공정성, 균형성 역사관을 의심하기 충분한 특정 인용을 추구하는 세력"이라고 주장하기도 했다.

친박계 핵심 의원은 최근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노동개혁 문제는 노사정 합의에 따라 국회가 후속 입법 조치만 하면 되고, 나머지 공공, 금융분야 개혁은 이미 개혁의 큰틀이 잡혀있기에 정치권이 별달리 개입할 필요가 없다"며 "이제 4대개혁 중 교육개혁만 남았는데, 이 문제는 내년 총선까지 길게 보고 접근해야 할 문제"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시사매거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