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기 고정·인력 배치 규정 없어 피해 키워

   
 

예비군 훈련장에서 총기난사 사건이 일어나 5명의 사상자가 발생하면서 군은 예비군 훈련 과정에서 안전 관리에 소홀히 했다는 지적을 피하기 어렵게 됐다.

특히 총기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총구를 표적지 방향으로 고정해 놓아야 한다는 규정이 없고, 인력 배치 역시 정해진 규정이 없다보니 예비군 훈련장 마다 다르게 운용되고 있다.

13일 오전 10시40분께 서울 서초구 내곡동 육군 수도방위사령부 예하 52사단 예비군 훈련장에서 축소 사격 훈련을 받던 최모(23)씨가 총기를 난사한 뒤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이번 총기 난사로 2명이 숨지고, 3명이 부상을 입어 병원에서 치료 중이다.

예비군 사격 훈련장은 불과 몇 미터 거리를 두고 다닥다닥 붙어있다. 각 사격구역에는 총을 실제 쏘는 사수와 몇 발을 쐈는지 확인하는 부사수가 뒤에서 대기하고 있다.

사격 훈련 당시 현장에 배치된 장교들이 지휘 통제 권한을 갖는다. 사수들은 보통 사격구역에 엎드려 있다 장교의 지휘에 따라 사격을 시작하는데 현역 병사들은 엎드려 있는 사수 옆에서 탄피를 확인하며 사격 훈련을 돕는다.

일반적으로 군 사격 훈련장은 총기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총구 표적을 향하도록 총기를 고정시켜 놓는다.

하지만 총기난사 사건이 터진 이번 예비군 훈련장의 사격구역에서는 총기를 고정하지 않은 상태에서 사격 훈련이 진행된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총기를 고정해야 된다는 것과 인력 배치 여부에 대해서도 별다른 규정이 없다보니 피해가 더욱 커졌다는 지적이다.

총기가 표적을 향하도록 고정돼 있었다면 이런 사고는 일어나지 않았거나 피해규모가 줄었을 것으로 예상된다.

군 관계자는 총기 고정 여부에 대해 "(사단) 안전을 위해 사격장에 안전고리 형식으로 설치돼 있다"며 "이번 사격에서 그것을 어떻게 설치했는지 파악되지 않고 수사 중"이라며 "당시에 연결고리를 본인이 푼건지 등은 확인해봐야 하고, 고정해야 한다는 규정은 없다"고 말했다.

또 이번에 사고가 난 훈련장에는 모두 546명의 예비군이 들어와 훈련을 받고 있는 상황에서 통제인원은 대위 3명, 사병 6명 등 모두 9명밖에 없었다.

인력 배치에 소홀했다는 지적에 대해 "안전통제를 위해 해당 대대에선 조교를 사선 좌우에 3명씩 운용한다"며 "전투근무지원 인원 빼고 훈련 투입된 인원 중 사격 안전통제가 중요해 6명을 둔다. 몇 명을 둬야 할지는 규정이 없다. 부대별로 가용병력이 다르다"고 해명했다.

특히 사격훈련 당시 장교 3명과 현역 병사 6명이 배치돼 있었는데 최씨의 이상 행동 여부를 제대로 파악하거나 적절하게 대응하지 못했다는 점에서 책임을 피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일각에서는 총기 사고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사격 훈련 시 예비군들에게도 방탄조끼를 지급해야 된다고 하지만, 현역 병사들에게도 전부 지급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에서 현실적으로 쉽지 않다.

군 당국은 재발 방지책을 강구하고 있지만 '사후약방문'이라는 지적이다.

김민석 국방부 대변인은 "군은 이번 총기사고와 관련해 어떠한 의혹이 없도록 투명하고 철저한 조사를 할 것"이라며 "조사결과에 따라 국방부 차원의 후속조치를 마련해 이러한 안타까운 사고가 재발하지 않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예비군 훈련장에서 발생한 총기난사 사건으로 군의 위상이 곤두박질치고 있는 가운데 군이 향후 어떤 대책을 내놓을 지 주목되고 있다.

 

저작권자 © 시사매거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