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폴트나 장기화 경우 경기회복세 발목 잡는 ‘복병’ 우려

1일 자정(미국시각)부터 미국 연방정부가 기능 일시 정지를 뜻하는 ‘셧다운’에 들어가자 뉴욕 자유의 여신상도 문을 닫았다.
미국 연방정부가 정치권의 갈등으로 일시적인 폐쇄 셧다운 상태에 들어갔다. 정부 예산지원이 끊기면서 국립공원과 박물관 등이 문을 닫고 연방공무원 80만명이 강제휴가에 들어가는 등 곳곳에서 업무차질이 빚어지고 있다.

미 연방정부의 폐쇄로 예산집행이 정지되는 것을 뜻하는 ‘셧다운’은 이미 가능성이 예고된 것이지만 장기화될 경우 미국 경제는 물론 세계 경제에 미칠 영향이 클 것으로 전망된다. 긴급시장상황점검회의를 가진 우리 정부도 “셧다운이 단기간에 끝날 경우 큰 영향이 없겠지만 장기화로 갈 경우에는 국내 금융시장 및 실물경제에 타격을 줄 수 있다”며 우려했다.

그렇다면 미국 연방 정부의 셧다운가 우리나라 경제에는 어느 정도의 파급효과가 있을까. 단기적으로는 우리나라 금융시장과 실물경제에 미칠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라는 게 경제전문가들의 중론이다. 다만 장기화될 경우엔 큰 악재로 작용할 수 있다. 미국의 급격한 내수 위축으로 이어져 수출 타격이 현실화되는 데다 대외 부문 불확실성이 커져 국내 경기 회복의 발목을 잡을 수 있어서다.

과거와는 상황이 달라졌다는 분석도 나온다. 경험상 정부 폐쇄는 오래가지 않아 해결될 것이란 전망에 당장 국내 금융·실물경제는 요동치지 않았다. 그러나 셧다운 상태에서 부채한도 증액 협상까지 실패해 연방정부가 일시적 디폴트(채무불이행)에 빠질 경우 대미 의존도가 큰 한국 경제도 적잖은 타격을 입게 된다. 미국의 양적완화 축소와 일본의 소비세 인상 등 글로벌 시장 불안요인 역시 상존해있다는 점도 위협요소다.

현재로선 미국 정치권이 연방정부 폐쇄 장기화라는 극단적인 상황까지는 몰고 가지 않을 것이란 낙관론이 우세하다. 하지만 사태가 장기화될 가능성은 커지고 있다. 1일(현지시간) 현재 미국 민주당과 공화당은 내년 회계연도 예산안을 두고 여전히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으며 국제유가와 금값은 미국 연방정부의 부분 업무 정지가 길어질 것이란 우려에 하락했다.

가장 우려되는 시나리오는 셧다운이 2주일을 넘겨 17일 부채한도 증액 협상 시한까지 이어질 경우다. 셧다운 상태에서 부채한도 증액 협상이 실패할 경우 대미수출 의존도가 높은 한국 경제엔 적잖은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

기재부 관계자는 “현재로선 폐쇄기간이 10일 내외에 그칠 것이란 예상에 시장 변동성이 적을 것이라 보고 있지만 2주 이상 넘어가게 될 경우가 문제”라며 “부채한도증액 협상 실패 우려 등 대외환경이 예전하고 확연히 달라 자칫 상황이 심각해질 수 있다”고 말했다.

LG경제연구원의 거시경제부문 관계자는 “미국이 연방정부 폐쇄 문제를 장기간 방치하지는 않을 것으로 예측돼 우리 경제에 대한 파장은 제한적일 것”이라면서도 “국가부채 한도 증액 협상 실패가 현실화될 경우 금융시장 불안은 물론, 실물경제에도 상당히 영향을 줄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한편, 이런 상황에서 일본이 또 하나의 불확실성을 보탰다. 아베 신조 총리는 같은 날 열린 정부와 여당의 간담회에서 소비세를 예정대로 올리겠다고 선언했다. 이렇게 되면 일본은 17년만에 소비세율을 인상하게 된다. 현재 5%에서 내년 4월 8%로 3%포인트를 올리게 된다.

정부 관계자는 “세계 경제가 회복되지 않은 상태에서 여러 리스크가 상존하고 있다는 점은 분명 경계의 대상”이라며 “상시 모니터링 강화와 필요시에는 기존에 마련한 컨틴젼시 플랜을 가동하면서 신속히 대처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시사매거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